2027: big-O 표기법

메모리제한:128 MB 시간제한:1.000 S
Judge Style:Text Compare 만든사람:
제출:4 통과:3

문제 설명

빅오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표기해주는 표기법이다
알고리즘의 효율성은 데이터 개수(n)개가 주어졌을 때 기본 연산의 횟수를 의미하게 된다 빅 오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게 된다.


O(1)입력값의 크기에 상관없이 항상 같은 시간이 걸리는 알고리즘
O(n)입력값의 크기에 비례해서 처리시간이 증가하는 알고리즘
O(n²)이차. (입력크기n 연산횟수n²)
O(Cⁿ)지수
O(logN)로그. (입력크기 증가율 > 연산횟수 증가율) 등이 있다.


아래 함수의 시간 복잡도를 출력하시오
def f(n):
  if n!=1:
    f(n-1)
  print(n,end=' ')
n=int(input())
f(n) 

입력 설명

입력 없음

출력 설명

f(n)의 시간복잡도를 빅-오(O) 표기법으로 출력한다.

입력 예시 Copy


출력 예시 Copy